아리랑 3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우리별 위성1호('92) · 2호('93) · 3호('99)
무궁화 위성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아리랑 위성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4)* · 7호('23)* · 7A호('24)* · 8호('27)* · 9호('28)*
천리안 위성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과학기술위성1호('03) · 2A호('09) · 2B호('10) · 나로과학위성('13) · 3호('13)
차세대소형위성1호('18) · 2호('23) · 3호('27)*
차세대중형위성1호('21) · 2호('23)* · 3호('24)* · 4호('23)* · 5호('25)* · 6호('25)*
ANASIS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425정찰위성1호('23)* · 2호~5호('24)*
초소형군집위성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기술검증플랫폼 위성1호(28)* · 2호(29)* · 3호(30)*
6G저궤도통신위성1호(27)* · 2호(29)*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1호(25)* · 2호(26)* · 3호(27)*
달 궤도선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화성 궤도선한국형 화성 궤도선(35)*
큐브위성도요샛('23)
KPS위성1호(27)* · 2~8호(~35)*
차세대대형정찰위성1~12호(425정찰위성사업 이후)*
기타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취소선: 발사 실패 / : 교신 두절 / *: 임무 예정
관련 틀 :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아리랑 3호
(KOMPSAT-3)
파일:아리랑-3호.jpg
관리 기관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일2012년 5월 18일
발사체H-IIA202
발사 장소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임무기간4년
우주선 정보
중량980 kg
크기직경 2.0m, 높이 3.2m
전력평균 1.3 kW
궤도 정보
궤도685 km 태양동기궤도
궤도 진입일2012년 5월 18일
탑재체
탑재체광학 카메라 (AEISS)
해상도흑백 0.7m, 컬러 2.8m

1. 개요
2. 발사
3. 발사 과정
3.1. 발사 준비 (L-60~L-1)
3.2. 발사 준비 (L-0)
3.3. 발사 과정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2012년 발사된 지구관측위성이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KOMPSAT-3)라고도 한다. 광학 카메라 (AEISS)를 탑재하고 있으며 아리랑 1호와 아리랑 2호보다 뛰어난 70 cm 해상도를 가진다. 한국의 독자개발이라고 보도된 것도 있지만, 광학기기의 개발에서는 EADS 아스트라움의 기술지원을 받았다. 고성능 인공위성 전자광학카메라 AEISS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조립과 정렬, 시험 등 탑재체 개발의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한 인공위성 탑재체라고 한다. 개발 비용은 2,872억원이 소요되었다. 위성영상 촬영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관할하고 있다.

발사 라이브
라이브 링크라이브 채널라이브 날짜라이브 길이
H-IIA 202 F21 Launch LIVE2012년 5월 18일1시간 14분 12초


2. 발사[편집]


2012년 5월 18일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제작된 H-IIA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250초만에 148km 상공에서 위성을 덮고 있던 발사체 페어링이 분리됐고, 발사 976초 후에는 목표 궤도인 676km에 진입해 아리랑 3호가 H-IIA202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으며 발사 1시간 40분 만인 오전 3시 20분 대전 항우연의 지상관제센터와 교신해 발사 성공을 최종 확인해줬다.


3. 발사 과정[편집]



3.1. 발사 준비 (L-60~L-1)[편집]


카운트다운시간(JST)이벤트
L-60 ~ L-312012년 3월 19일 ~ 2012년 4월 17일위성 기능 점검
L-30 ~ L-262012년 4월 18일 ~ 2012년 4월 22일위성 추진제 충전
L-25 ~ L-152012년 4월 23일 ~ 2012년 5월 3일위성 최종 점검
L-142012년 5월 4일상단/하단 페어링 종합
L-102012년 5월 8일페어링과 발사체 결합
L-72012년 5월 11일임무준비 점검회의
L-62012년 5월 12일발사 리허설
L-52012년 5월 13일종합 전기접속 시험
L-32012년 5월 15일발사준비 점검회의
L-12012년 5월 17일발사대로 이동


3.2. 발사 준비 (L-0)[편집]


카운트다운시간(JST)이벤트
X-13:30:005월 17일, 12:09:01발사대로 H-IIA 이동
X-13:00:005월 17일, 12:39:01발사대 도착
X-13:00:005월 17일, 12:39:01추진제 인터페이스의 연결
X-13:00:005월 17일, 12:39:01전원/데이터 인터페이스 연결
X-13:00:005월 17일, 12:39:01발사체 및 발사대 정리 시작
X-10:40:005월 17일, 14:59:01추진제 적재에 대한 투표
X-10:30:005월 17일, 15:09:01400미터 안전지대
X-10:30:005월 17일, 15:09:01추진제 적재 설정
X-08:00:005월 17일, 17:39:01발사대 대피
X-07:45:005월 17일, 17:54:013,000미터 안전지대
X-07:30:005월 17일, 18:09:01추진제 적재 작업
X-07:30:005월 17일, 18:09:01GSE 가압 및 냉각
X-07:30:005월 17일, 18:09:01전송 라인 진정
X-07:30:005월 17일, 18:09:01추진제 탱크 냉각
X-07:30:005월 17일, 18:09:01LOX 및 LH2 적재
X-07:30:005월 17일, 18:09:01추진제 토핑 및 보충
X-06:00:005월 17일, 19:39:01자세 제어 시스템 테스트
X-05:00:005월 17일, 20:39:01통신 확인
X-04:30:005월 17일, 21:09:01추진제 적재가 보충에 들어감
X-04:00:005월 17일, 21:39:01발사체 최종 점검
X-01:40:005월 17일, 23:59:01비행 제어 시스템 테스트
X-01:10:005월 18일, 00:29:01터미널 카운트 GO/NO GO
X-01:00:005월 18일, 00:39:01터미널 카운트다운 시퀀스
X-00:10:005월 18일, 01:29:01자동 카운트다운에 대한 투표
X-00:08:005월 18일, 01:31:01내부 전원에 대한 페이로드
X-00:04:305월 18일, 01:34:31자동화된 카운트다운 시퀀스
X-00:04:305월 18일, 01:34:31추진제 적재 종료
X-00:04:205월 18일, 01:34:41추진제 탱크 가압
X-00:03:005월 18일, 01:36:01내부 전원으로 전환
X-00:02:005월 18일, 01:37:01범위 및 날씨 검증
X-00:01:135월 18일, 01:37:48대홍수 시스템 활성화
X-00:01:005월 18일, 01:38:01비행 종료 시스템 무장
X-00:00:305월 18일, 01:38:31불꽃 사용 가능
X-00:00:185월 18일, 01:38:43비행 모드로의 안내 시스템
X-00:00:105월 18일, 01:38:51수소 연소 시스템 활성화
X-00:00:05.25월 18일, 01:38:56.2LE-7A 점화 시퀀스 시작


3.3. 발사 과정[편집]


미션 경과 시간시간(JST)이벤트
X+00:00:005월 18일, 01:39:01부스터 점화 및 발사
X+00:01:565월 18일, 01:40:57고체 로켓 부스터 (SRB) 엔진 차단
X+00:02:085월 18일, 01:41:09고체 로켓 부스터 (SRB) 분리
X+00:04:055월 18일, 01:43:06페어링 분리
X+00:06:315월 18일, 01:45:321단 주 엔진 차단
X+00:06:395월 18일, 01:45:401단 분리
X+00:06:505월 18일, 01:45:512단 엔진 점화
X+00:15:145월 18일, 01:54:152단 엔진 차단
X+00:16:045월 18일, 01:55:05아리랑 3호 위성 분리
X+00:19:215월 18일, 01:58:22하단 페어링 분리(어댑터부)
X+00:19:265월 18일, 01:58:27하단 페어링 분리(실린더부)
X+00:23:115월 18일, 02:02:12GCOM-W1 위성 분리
X+00:33:205월 18일, 02:12:21SDS-4 위성 분리
X+00:50:005월 18일, 02:29:01HORYU-2 위성 분리


4. 관련 문서[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아리랑 위성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아리랑 위성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1:59:06에 나무위키 아리랑 3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